우선 현재의 빈마을 소통체계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는데...
1. 집별회의
2. 집사회의
3. 마을잔치
4. 가게회의
5. 빈고회의
6. 홈페이지
나머지는 어쨌든 꾸준히 모임이 이뤄지고 역할과 위상이 자리를 잡은 것에 비해서...
집사회의가 문제가 되고 있지요.
근래에 불거졌던 문제인... 마을활동비의 문제를 논의하면서 나왔던 의견들을...
돌이켜보면... 결국은 이런 것이 아니었던가 싶습니다.
마을활동비는 돈을 낸 사람들(빈집들의 장기투숙객들)이나 쓰일 목적(빈마을사업)에 비추어본다면...
모금의 주체나 용도를 결정할 단위는 집사회의가 가장 맞아떨어질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집사회의가 적절한 위상을 잡지 못하면서...
그 역할이 다른 회의로 떠넘겨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그동안의 논의를 돌이켜보면...
a. 7월 빈고 운영회의에서는 마을활동비 논의를 운영회의가 아닌 다른 자리에서 논의되는 게 좋겠다고 얘기되었고...
b. 그래서 가게회의에서는 가게회의가 그 역할을 맡는 안이 검토되었고...
c. 8월 마을잔치에서도 이 건이 논의로 부쳐져서 복잡한 얘기들이 오가는 와중에...
d. 각 집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안이 나왔고...
e. 9월 빈고 운영회의에서는 운영위원을 집별로 한 사람씩 뽑자는 안... 집사회의와 운영회의를 통합하는 안이 나왔지요.
f. 홈페이지에서 쿠우의 소통체계연구모임에 댓글로 달린 의견은... 집사회의를 다시 잘해보자는 안인 셈이구요.
결국... 약간 도시적이라는 위험이 있지만 정리해 보자면... 이런 정도가 아닐까 싶어요.
b는 집사회의 역할을 가게회의로 편입하는 안.
c는 집사회의 역할이 마을잔치로 편입되어 나타난 현상.
d는 집사회의 역할을 집별회의로 편입하는 안.
e는 집사회의 역할을 빈고회의로 편입하는 안.
f는 집사회의를 강화하는 안!
다섯가지 모두 불가능한 안은 아니고... 장단점이 있을 것 같긴한데... 다른 안도 가능하겠지요.
어느쪽으로 가든 그에 따른 변화와 보완책이 필요하겠지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들.... ^^
각자 각 경우를 상상해보고... 집별회의 때도 얘기해보시고... 소통체계연구모임에도 나오시고... 의견을 모아 봅시다.
그렇게 안을 만들어보고...
최종 결정은 다음달 10월 마을잔치와 빈고 확대운영회의에서 하도록 하면 어떨까 싶네요.
복잡해보여도... 잘 생각해보면 재밌을 거에요. 좋은 공부기도 하고. ㅎㅎ
아 되게 복잡하다. 결국 a에서 f까지 유기적으로 다 연결되어 있는거잖아요.
이렇게 분리해서 도식화하니까 각각이 따로따로 놀다가 집사로 편입/통합된거 같이 보이는데,
집사회의에서 마을 전체 회의며 활동이며 열심히 참여하면 된다는 얘긴거죠? 그런거죠? ... 그런가요?
무식해서 미안 ㅠ.ㅠ 아직 적응못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