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1.12 학숙 회의록

참여: 찰스 나마 정민 살구 좌인 유농 신비 소나무 지비 지음 곰자

기록: 정민

 

연두 주노정 불참. 둘은 새집 쪽으로 가겠다는 의향을 전해왔습니다.

 

-오늘 공지보다 회의 시작이 늦어졌어요. 다음 회의에는 미리 이야기해주길!

 

=공간에 대한 이야기

곰자: 유농이 같이 살자는 얘기를 해서 생각해 봤는데, 이 공간이 애매하지 않나. 1층을 비우고 2층을 생활공간으로 쓴다면 자리가 부족할 듯. 3층은 탁 트인 공간이라 주거하기엔 애매. 각이 잘 안 나옴.

좌인: 1층 방 두 개는 머무는 공간으로, 거실을 연구소로 하고 2층도 주거공간으로 활용하면..

곰자: 1층 방도 아주 친한 사이 아니면 애매하다고...

좌인: (유농에게)나와 함께 엉겨붙겠나?

유농: 난 그럴 수 있어.

 

좌인: 어떻게 살지 논의가 되면 구조는 어떻게 할지 정리될 듯. 누가 살지, 어떻게 살지를 명확하게 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지음 살구도 3월 지나면 가니 구조를 쉽게 변경하기도.

지음: 그 전에 이동할 수 있어요.

좌인: 안 되죠. 그 전에 시킬 일이 많은데?

살구: 구조 변경하면 남는 공간에 가면 돼요. 어차피 3월 전에 집정리도 해야하니.

유농: 해씨 집이 방이 하나 비니, 해씨와 이야기해서 쉴 곳이 필요한 사람은 그 집을 활용할 수도.

 

=새집에 대한 이야기

신비: 계단집은 23일까지 계약인데 다들 그 전까지 흩어질 것 같아요. 사람들은 대부분 계속 장투 원하고요. 그 전에 새집을 구하면 좋겠다 싶은 얘기가 나왔어요.

나마: 그 전에 새집 구하기는 힘들 것 같아요.

살구: 비어있는 집을 당장 다음주나 다다음주에 계약할 수 있는 게 아니면 힘들어서.

좌인: 집도 좀 더 봐야할 거예요. 일단 후보는 성당 근처의 집. 거실이 좁고 큰 방이 매우 커요.

 

좌인: 일단 확실해진 건 새집에 연두와 주노정이 주축이 되어 들어가겠다. 하는 거.(그렇진 않다는 게 나중에 밝혀집니다. - 기록자 주)

유농: 얼마나 역할을 하겠다는 건지 불투명하긴 해. 하지만 그런 역할을 해야하지 않을까?

좌인: 연두가 바빠 큰 역할을 못해줄 것 같긴 한데, 연두가 좋은 이야기를 많이 할 수 있으니. 살 때 중심을 잡아주는 건 연두와 주노정이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초기 세팅은 다른 사람들이 많이 힘을 실어줘야할 듯 하네요.

유농: 학숙 계약자에 연두 주노정이 있으니까 이번에 계약자를 학숙 참여자로 싹 바꾸고 연두 주노정이 새집 계약자를 했으면.

좌인: 새집 주체가 있어야 새집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지금 많이 할 수는 없어. 집 알아보는 건 같이 해야할 것 같아. 얼굴 팔린 사람이 다시 가기는 힘들 듯.

 

=학숙 구성 인원

나마: 그럼 이 공간(학숙) 이야기를 했으면. 연두 주노정이 빠진다고 하니 이 공간을 통으로 어떻게 할지 우리끼리 이야기할 수 있을 듯.

-인원구성: 나마 정민 유농 좌인 지비 타케시 유선(2월부터) 곰자(3월 정도부터) 살구(3월까지) 지음(3월까지)

 

=산하 난입 예고

비비: 산하도 들어온다고 하던데요. 학숙 계약자라고.

나마: 계약자 문제는 조정이 돼야하는 거라서.

유농: 제가 산하보고 너 학숙 계약자 아니었냐, 학숙 계약자인데 학숙에 전혀 참여를 하지 않고 있던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었어요. 그때...

나마: 그 동안 산하가 무슨 역할을 했는지 잘 모르겠어요. 공간 꾸릴 땐 산하와 주노정이 같이 이야기를 해 꾸렸던 것 같긴 한데. 저는 산하가 계약자인 줄도 몰랐어요. 그 이후론 이 공간에 거의 오거나 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새로 공간을 구성할 때 계약자 문제가 정리되어야하지 않을까 싶고.

비비: 산하는 벌써 짐을 싸고 있던데요.

지음: 학숙은 여기 와서 뭘 해보자고 하고 있는 거잖아요. 아무나 들어와서 뭘 해보겠다고 하면 힘들죠. 그런 식으로 하면 집의 형태나 성격이 정해질 수 없어요. 시작할 땐 함께 동의한 사람들이 같이 하는 거지, 그 외의 사람이 아무렇게나 들어오면 일이 안 되죠. 제가 볼 땐 여기서 뭘 할지, 일을 중심으로 여기서 어떤 일을 할지 성격을 빨리 정하는 게 맞아요. 산하처럼 밀고 들어오는 건 아닌 거고. 산하는 계약자도 아니고. 여기서 뭘 한 게 있어야 계약자라고 하죠.

지음: 비비님도 마찬가지예요. 비비님은 어떤 걸 원하시는 거예요?

비비: 저는 새집 들어간다고 했는데.

지음: 새집도 무언가 원하는 게 있어야 같이 모이는 거지, 지금 단계에서 모이고 있는 판에 딱 끼어들면 힘들죠. 적어도 뭔가 하는 공간이 아니고 같이 사는 공간이라 그냥 빈집처럼 하자고 하면, 적어도 마음은 맞-고 시작해야하는 거죠. 집을 구할 때 최소 세 명 정도 필요하다 하는 건 규모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세 사람은 마음이 잘 맞아서 잘 갈 수 있어야 공동체가 유지된다는 의미죠. 계약자라면 그런 부분 확인이 잘 되어야하는 거고.

비비: 그럼 산하가 잘못했네요.

지음: 지금 산하 이야기 하는 게 아니고, 집을 구성하는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거예요.

 

=비비와 신비의 스탠스

비비: 그럼 인원은 대충 결정이 된 건가요?

좌인: 확실한 인원은 좌인 지비 정민 유농 나마 정도.

비비: 그럼 새집 계약자는 저랑 신비 둘만 남은 건가요?

나마: 새집 논의는 새로 되어야할 것 같아요. 원래 학숙 논의와 함께 한다고 이런 과정과 인원들로 진행된 건데, 지금 시점에서는 학숙은 학숙대로, 새집은 다른 동력으로 끌고가야 될 것 같아요.

좌인: 그리고 비비님은 꼭 새집이 아니라 다른 집의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요.

비비: 그렇죠. 저도 조율만 된다면 그 집으로 가면 좋겠어요.

: 새집은 에너지를 되게 많이 써야 할 거예요.

비비: 그런 것 같아요. 그래서 저도 생각이 복잡해지기 시작한 거죠.

비비: 그럼 신비님은 새집에 대한 계약 의지가 있는 건가요?

신비: 저는 그럼 이 회의를 나가도 될 것 같아요.

좌인: 새집 논의에 낄 의사가 있는지?

신비: 그건 주노정 연두와 이야기를 해보고 생각해야할 듯. 지금은 학숙 회의니까 빠지려고요.

좌인: 바쁘지 않으시면 함께해도. 지금까지 빈집 지내면서 답답함이나 정보의 불평등 같은 걸 느끼는 것도 같았고. 시간 나시면 회의에 같이 있어보시는 것도.

신비: 저는 아예 여기 이야기엔 손을 떼겠습니다.(퇴장)

(비비는 다른 집을 찾아보겠노라는 의지를 비침. 살림집 인원이 많이 빠질 것 같으니 살림집 생각도.)

 

=학숙에 대해 이야기합시다.

좌인: 일단 새집 만드는 것에 연두와 주노정이 나선 것은, 새로운 것을 만드려고 나서는 거라기 보다는, 그들이 넘어가서 그런 역할을 해줘야겠다는 책임감 정도가 있는 것 같아요. 살림집이 초기 세팅 잘 되었던 것은 새집을 잘 만들겠다는 의지가 강력하게 있었기 때문이었죠. 그래서 살림집을 잘 만들 수 있었던 상황이었는데, 지금은 연두와 주노정이 강력한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그냥 밀어붙일 수 있는 건 아닌 거 같긴 해요. 이번 마을회의 전에 만나서 연두 주노정과 이야기해본 뒤 새집 이야기를 진행하면 될 듯 하고, 오늘은 학숙 이야기를 하면 될 것 같아요.

학숙은 센터의 역할을 하는 거죠. 센터의 이름을 다시 꺼낸 건, 일을 보고 이야기했을 때. 빈집의 새로운 사람을 맞이하고,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전담해서 맡아야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 같다는 이야기가 한 축으로 나와서예요.

이왕이면 우리 노동력을 내부에서 소화하며 만들어나가자는 차원에서, 노동에 필요한 공간의 이야기가 학숙으로 된 것도 있었고. 그런 필요를 떠나서 개인이 무엇을 업으로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도 있고. 그런 부분은 함께 사는 사람들이 이야기해봐야할 것 같아요.

-첫 번째로는 같이 살기로 한 사람이 어떻게 살면 좋을지.

-두 번째로는 센터라는 역할로 어떤 일을 하면 좋을지.

크게 이 두 맥락으로 이야기해보면 어떨까 생각해요.

(참고로 앞으로도 나올 센터라는 단어는 마을의 중심이라는 의미에서의 센터가 아니라 인포메이션 센터를 부를 때의 센터라는 의미로 편의상 불리고 있음을 명확히합니다. - 기록자 주)

 

=우선, 센터에 대한 염려

좌인: 저는 계속 염려되는 지점이, 새로운 사람을 맞이하는 걸 꼭 누구 한 사람이 전담하거나 한 집이 전담하거나 하는 게 아니라 각 집이 나눠 소화하는, 문화라면 문화가 있었는데, 그게 한 집으로 몰린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어요. 마을회의에서 논의해서 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텐데, 이 테이블에서 그 문제를 논의하는 게 맞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지비: 각 집 컨셉이 있잖아요. 저희 집에 사랑방이라는 컨셉이 들어간다면, 이 집에 들어오게 되면 문화 같은 것들을 확실하게 전해줄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전해주고 그걸 손님들에게 공지하면 그 분들이 원하는대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나마: 그렇죠. 빈가게에서도 어디로 문의해야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몰려오는 게 있어서. 각 집들의 연락망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도 않았고 하니.

지비: 그래서 그건 사랑방에서 하는 게 맞는 것 같고.

나마: 저도 우려되는 게 좌인과 같은 지점이거든요. 하지만 빈집은 원래 다들 손님을 맞는 거고, 그것을 어떤 집에서만 손님을 받는다는 것과 어떤 집이 주도적으로 하게 된다는 건 다른 것 같아요.

좌인: 백수만 사는 집, 집과 집을 이으려고 하는 시도를 하는 집이 필요한 것 같아요.

지비: 그게 우리가 해야할 역할이 아닐까 해요.

곰자: 다른 빈집에 사는 사람들도 이 집이 생긴다 해서 손님맞이에 손을 놓지는 않을 것 같아요.

나마: 마을회의에서, 손님맞이를 주도적으로 챙길 역할을 이 집에서 가져간다고 공유가 되면, 각 집에서도 괜찮다고 생각하지 않을까요.

 

=센터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 1: 손님맞이

좌인: 해볼 수 있을 것 같은 것은 굉장히 다양해요. 외부 사람들은 빈집의 서사를 들을 기회가 있는데, 내부에서는 오히려 그럴 기회가 잘 없죠. 빈고 조합원 교육에서 빈마을에 대한 교육도 같이 해보면 좋겠다 하는 생각도 했어요. 만약에 한다면 여기 사는 사람들이 돌아가며 해볼 수도 있겠다 싶기도 하고요.

정민의 경우에는 가게에서 수고해야할 부분이 보여요. 손님들이 빈가게로 찾아오게 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아, 이곳에서 같이 살 정민과 유선의 역할이 빈가게 마스터와 함께 마을의 센터 역할을 잘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나마: 사람들이 대개 오기 제일 좋은 것이 빈가게. 응접실의 역할도 있고. 근데 지금까지 빈가게와 빈집의 관계가 딱 맞지를 않았어. 통으로 가는 공간이 아니었던 거야. 그런데 사람들은 계속 여기 찾아가고. 연락체계가 잘 갖춰지게 되면 훨씬 일이 적어질 거야.

소나무: 제가 끼어들어도 되나요? () 아무 말 안 하고 싶었는데.. 제가 이곳에서 하루 경험해본 걸로 이야기할게요. 틀린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어주세요.

제가 예전에 있던 곳은 손님을 맞는 것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었어요. 손님을 맞는 건 전체의 일이긴 하지만. 노골적으로 이야기를 하면, 아예 그걸 담당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그 사람들에게 찾아오게끔 공식적인 시간을 주고, 그 사람들은 그 시간에 계속 상주하고 있으며 노동하는 걸로 치면 사람들이 일로서 애정을 갖지 않을까 생각해요. 장기적으로 생각한다면 무언가를 시스템화하고 제도화하는 게 사람들이 편하게 생각하며 살 수 있지 않을까. 빈집은 인원이 많지 않아 고이거나 썩을 구조가 아닐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그런 제도화가 되었다 해서 권력화되기는 쉽지 않을 거라고. 그래서 제도를 만들면 불편이 개선되지 않을지.

좌인: 그런 부분에 대해 밖에서 일하며 제가 경계하게 된 부분이 있어요. 빈집에서는 원래 제도화되지 않았음에도 누군가 암암리에 하게 되는 문화가 참 좋았는데, 밖에서 일하면서는 그런 시스템에서 나오는 문제에 대한 경계가 많이 생겼어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 있어서 제가 꽉 막혀 있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해주셨으면 해요. 소나무님의 이야기에는 제도화에 대해서 계속 염려되는 지점은 있지만, 그런 이야기도 계속 같이 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나마: 지금 시기에서는 좌인의 우려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좌인이 그런 이야기를 계속 해주는 게 좋다고 생각해. 개인적으로 인도의 오로빌이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 그곳엔 제너럴 게스트 서비스라고 하는 게 있어요. 인포메이션 센터 같은 곳인데, 주민이 돌아가면서 일하는 것. 게스트 하우스도 따로 있고. 게스트 하우스에서 지내다 커뮤니티로 들어가기도 하는 점층적인 구조. 매끄럽게 역할. 마을 센터라면 그런 기능을 했으면. 각 빈집들을 중개해주는. 공동식당이 있어서 함께 밥을 먹기도. 그렇게 묶이는 것이 있어요. 그걸 하나의 참고로 삼을 수 있겠다 싶어요.

(정민의 생각은 어떠냐는 물음이 나옴. 정민이 어눌하게 대답하자 소나무는 정민이 외국인이냐고 물어봄.)

정민: 한국말보다 손가락이 편한 정민입니다. 저는요...... 여기서 사랑방 역할 외에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어요. 요즘 계속 늦게 일어나지만, 장기적으로는 오전에 일어나고, 이 공간에 계속 있으면서 손님들을 맞이하는 역할을 할 생각이에요. 나중에 빈집에 대한 매뉴얼을 만든다고 하면 주도적으로 할 생각도 있고.(나교장 첨언: 정민은 정리를 잘 하기 때문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곰자: 손님맞이에 대해 얘기했는데. 빈집에 올 사람에 대한 환대인가요? 택리지 발표를 할 때 빈집을 대외적으로 알리고 싶었는데, 그때 함께 신택리지 사업 하는 친구들이 빈집을 외부적으로 알리는 걸 꺼리고, 잘못 알려질 위험을 경계하더라. 빈집에 대해 설명하기가 무척 어렵다. 그래서 센터가 투숙객을 대상으로 하는지, 아니면 대외적으로도 역할을 할 건지 궁금하다. 빈가게에서 항상 공연도 하고 하는데, 마을안에서만 여는 느낌이다.

유농: 택리지할 때 애들이 이야기하길 꺼린 건 빈집에 대해 잘 몰라서 그랬다고 생각해. 빈집이 어떤 곳인가 하는 게 불명확하게 느껴지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그런 일이 있었다고. 이곳은 정리가 어느정도 이뤄진다면 외부로 알리는 역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

좌인: 나는 빈집 살며 이곳 친구들이 만들어내는 아웃풋이 좋았던 게, 이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을 끄집어내는 게 좋았거든요. 유농이 만화를 그리거나 정민이 재미지게 글을 쓰거나 하는 것도 좋고, 소나무님이 탱탱과 합작해 연극을 만드는 것도 좋을 거고. 아웃풋을 어떻게 낼 것인지는 되게 다양하게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요.

(외부 매체의 취재를 받는 것에 대한 이야기가 나옴)

나마: 결국엔 우리가 이곳에서 잘 살면 될 거라 생각. 외부에서 오는 사람들도 우리가 잘 사는 모습을 보는 거고.

 

=센터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 2: 집과 집을 잇는 역할을!

유농: 빈집에 무체계의 엄청난 강점이 있는데, 그런 걸 놓치고 가지 않았으면. 내부공유가 많이 되면 좋겠어. 다른 빈집들과의 공유가. 하루 한 번씩 얼굴 보는 정도는 아니더라도 많이 놀러 오고.

비비: 집들 간의 교류가 예전보다 없어졌다는 느낌인데 그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유농: 원래 예전엔 집이 하나여서 매일 얼굴을 보고 살았기 때문에. 집이 여러 개 생기며 점차 물리적인 거리가 생긴 거죠.

좌인: 예전엔 집사회의가 있어 훨씬 더 교류나 집들 상황의 교류가 있었어요.

유농: 그래서 우리가 여기서 이곳으로만 오는 게 아니라, 작년 살림집에서 공연하고 마실집에서 반찬만들기했던 것처럼 그런 것들이 계속 있었던 것처럼. 이번에 하는 집별 습격도 좋고.

좌인: 그런 것을 이곳에서 이어줄 수 있다고 생각해요.

 

 

=백수할인과 활동가보조

비비: 출근자들이 포용하는 마음으로 백수들에게 분담금을 1-2만원 낮춰주는 것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좌인: 실제로도 그런 부분이 있었어요. 그땐 낮춰주는 게 아니라 분담금을 얼마 이상이라고 하는 것으로. 그러면 더 낼 수 있는 사람들은 더 냈고.

나마: 그런데 그게 되려면 공유하는 정서나 가치가 있어야 가능한 것. 그리고 소수에서 그게 확장이 되어야할 것.

유농: 마을활동을 하는 사람은, 마을 사람들이 한 달에 1-2만 원씩만 내줘도 마을에서 살 수 있다고. 그런 생각을 해볼 시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했어.

좌인: 그 이야기는 해볼 수 있지만, 지금 시점에 그 이야기를 하는 게 맞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유농: 우리가 그것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다는 거지. 이야기를 꺼내려면 가치관의 공유가 되어야겠지. 이야기부터 꺼내면 턱 하고 내 만 원!” 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이런 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 왜냐면 여기는 하숙집이 아니니까.

나마: 위험이 있다고 생각해. 그냥 해왔던 일이 돈 받고 하는 일로 된다는 게.

좌인: 일단은 정책자금으로 보조 받는 게 있으니.

 

=1차 정리

좌인: 센터로서 어떤 역할을 가지고 갈 것인지 충분히 이야기된 것 같고, 살고 있는 사람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이야기했으면 좋겠어요.

센터차원에서 이야기된 것은, 1.손님을 맞이하는 것. 2.빈집들을 잇는 것.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차차 할 수 있을 듯.

이제 각 개인이 어떤 걸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했으면 해요.

(5분 휴식)

 

=센터 주체들, 어떻게 살지

나마: 학교 문제가 있어서 걸리긴 하는데. 기본적으로 연구소의 싸이클이 잘 맞았어. 아침에 일어나서 영어 모임과 요가를 하고. 그러고 내려와서 밥 먹으면 얼추 한 시쯤 돼. 밖에 수업 있으면 수업 갔다오고, 아니면 집안일 하고 내 할 거 하는데. 기본적으로 공부를 꾸준히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어. 어차피 꾸준히 해야하는 거야. 대학원 갈 생각으로 하는 건 아니고. 그 공부가 그래. 난 말하자면 같이 공부하고 살고 싶은 과인 거지. 운동도 같이 할 수 있으면 하고. 센터 역할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야기를 차차 해봐야겠고. 하지만 학교 문제가 내 모든 계획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어...

유농: 나는 환대에 적합한 사람은 아닌 것 같아. 한 말 또 하는 거 별로 안 좋아하거든. 그래서 나는 마을에 있는 사람들하고의 뽕짝 같은 걸 만드는 걸 열심히 하고 싶다 생각입니다. 빈집에 대한 내용을 만화로 하고 있는데 정리도 같이 하고 싶고.

지비: 제가 만약...만약이 아니라. 저는 환대하고 이런 거 뭐 되게 잘 한다 생각이 들고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고도 생각하거든요. 그 쪽을 제가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손님들 처음 왔을 때 다른 빈집으로 연결해주는 역할도 해줄 수 있을 것 같고요. 사람 맞이하고, 환대하고, 그런 걸 하고 싶어요. 다같이 할 수 있는 강좌 같은 거 같이 기획하고 운영해보고 싶어요.

곰자: 저는 작년 초에 천연화장품 만들기를 했었는데, 그걸 같이 해서 빈가게에서 팔기도 했으면 좋겠어요. 사람들 만나는 걸 좋아해 환대도 하고 싶고. 신택리지를 하며 마을활동에 대해 빈집 이상의 해방촌을 생각하게 되었어요. 만약 해방촌에서 올해 마을 활동가로 일한다면 그런 부분도 같이 고민해보고 싶어요. 주축은 빈마을과 빈집이 되겠지만.

좌인: 저도 환대 같이 할 수 있고. 외부 강연이나 소개할 때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근데 저 혼자 하는 건 재미 없고, 같이 했으면.(유농: 같이 할 수 있어요.) 주축 중에 하나는 빙고 활동을 열심히 할 계획을 갖고 있고요. 빈고 활동을 하면서는 기존에 했던 것들을 정리하는 일을 주축으로 할 것 같고. 외부와의 연대를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 있는지라, 빙고로서 외부 단체와 연대하는 것을 하면서 빈집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올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해보고 싶고. 나마스떼와 맞닿아있는 부분은, 빈고를 하면서도 연구하고 공부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요. 1년 정도 내다보고 무겁지 않게 자체 스터디를 해보고 싶은 생각. 고민은, 노동이에요. 손으로 하는 건 되게 재미있어해서 목공을 배울지 바느질로 무언가를 만들어본다든지, 천연화장품도 그렇고. 뭘 해보면 좋을까 고민중. 중간중간 집에 없을 수 있어요. 귀농귀촌에 대한 생각으로 홍성에 다닐 것 같거든요. 계획은 되게 많아서 우선순위를 어떻게 할지 고민을 해봐야 해요.

유선: 저는 올해 하반기엔 한국에 없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식으로 1년을 반 딱 잘라서 생각하려니 잘 생각할 수가 없는 거예요. 절대 캠프힐 이력서를 못 써서 그런 건 아니고요.(일동 웃음) 그래서 올해는 빈집에 있는 걸로.(일동 환호) 3월까지 가게에서 일하고 싶다고 이야기했는데, 그래도 가게와 빈집에 대해서는 계속 관심이 있어요. 학숙과 새집 중 어디서 살지는 생각을 깊게 못했지만, 작년에 보부상처럼 콩밭이나 밀영의 물건을 떼서 프리마켓 순회를 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런 걸 함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폐백과 이바지 음식을 배우고 싶은 게 있었는데, 그걸 하려면 돈을 모아야 돼서 빈가게랑 같이 가기는 되게 힘든 거라, 준비 중이에요. 그 전에 폐백/이바지음식 독학 워크샵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 있어요. 배워 와서 나눌 수도 있고.(누구 결혼 안 하냐? 워크샵 시키게.) 어쨌든 노동은 그리 생각하고 있긴 한데, 생각보다 소비하는 게 많아서. 공연 기획 같은 외부 일도 그렇고. 그래서 알바는 계속 할 것 같아요. 그 외 집에 있는 시간 동안 환대를 할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저는 음식으로 환대하는 거 좋아하거든요.

-유농: 그런 점에서 유선과 함께 살고 싶긴 한데, 전체 구성을 보면 새집에도 사람이 필요하고. 바깥 일을 해야하는 구조라면 여기보다 새집이 어울리지 않을지.

유선: 아직 바깥 일을 얼마나 할지 정해지지 않았고, 생각도 깊게 해보지 않아서. 일단 24일부터 어디서 살아야할지 하는 게 있어요. 그리고 수영 같이 다닐 사람 있으면 좋겠어요.

소나무: 처음에는 각 빈집의 컨셉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어요. 빈집이란 게 단순히 살기 불편해서 모인 사람들이 아닌가 하고. 제가 살던 곳에는 전체가 모이는 공간이 있었는데, 여긴 그런 곳이 없죠. 그래서 건물 자체의 특징을 잘 살리려고 하면 집마다 컨셉이 필요할 것 같네요.

저는 지금은 바깥에서 너무 하고 싶은 연극이 있어서 바깥 일에 쏠려 있어요. 빈집에서는, 한 달에 한 번(욕심 같아선 2주에 한 번) 소식지를 만들고 싶어요. a4 한 장 정도에 재미난 만화와 소식과 그런 것들. 종이가 훌륭하다 생각하는 옛날 사람이라서.

 

 

=연두가 와서 새집 이야기

좌인: 연두와 주노정이 새집의 중심이 되어줄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어찌 생각하나요? 연두 일도 정리가 안 되어 새집 이야기를 두 사람에게 다 토스해주기에는 힘들 거고, 어떻게 결합하면 좋을지.

연두: 우리한테 토스해 준 거야?

나마: 붙을 사람은 여럿 있어요. 새집에 대해서 다들 부담을 갖고 있다가 연두와 주노정이 건너간다는 말에 다들 그만두고 학숙으로 결정했어요.

연두: 난 일을 그만둘 생각이 아니었으면 빈집에서 나갔을 거예요. 학숙과 순환하는 방식으로 새집을 만들기로 생각했기 때문에 그런 맥락에서 새집으로 가겠다고 생각했던 거예요. 학숙이랑 같이 가는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근데 그게 아니니 새집에서 뭘 할 건가를 생각해볼 상황이 된 거잖아. 그런데 아직 그렇게 해야될지 아닐지도 생각을 안 해본 상태라, 생각할 시간이 필요해요.

나마: 학숙 논의가 정리되면 새집 논의도 깔끔하게 갈 수 있을 듯.

연두: 집의 테마나 컨셉을 잡는 것도 좋지만 빈집들이 서로 비슷한 것도 중요하다 생각. 그래서 새집 논의도 함께 갔으면 했던 것. 의지가 있는 인원도 두 집 정도를 채울 수 있을 것 같았고. 아무튼 난 지금 새집을 꾸릴 여력이 없는 상황. 주노정은 월말에 올 계획.

 

=새집을 만들어야하나

연두: 일단 깔끔하게 할 것은. 여기서 몇 명이나 살 거예요?

좌인: 지비 좌인 정민 유농 나마 타케시

연두: 그럼 찰스님과 소나무님은?

-살림집으로 가지 않을라나?

소나무: 저는 어느 집으로 상관없어요.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만들고 싶은 꿍꿍이가 있어서, 옥상이 있는 집이었으면. 새집에 가서 많은 것들을 해보고 싶지만, 지금처럼 바쁜 상황에서는 기존에 갖춰져 있는 집으로 가는 게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요.

연두: 그러면 지금 나설 인원들은 학숙에서 다 소화할 수 있는 규모인 거야. 찰스님, 소나무님이나 비비님도 원래 있는 집으로 가면 되고. 그러면 문제되는 건, 손님이 올 경우 갈 공간이 없다는 거잖아. 그러면 누군가 새집을 만들 수 있을 때 새집을 만드는 게 맞겠네. 내가 할 수 있을 때 이야기를 꺼내서 만드는 게 맞겠고. 4월에 일을 그만두고 마을에서 에너지 받고 쓰면서 산다, 그러면 그때 새집 이야기를 다시 시작하는 게 맞을 것 같아. 여러분이 시작했던 새집 이야기는 학숙 하나로 통합된 거고. 오늘 이야기는 그렇게 정리하면 될 것 같은데.

좌인: 그런데 그러면 갈 곳 없는 사람들이 있게 되는 거니까.

연두: 아무튼 지금 새집이 있다해도 이 자리엔 새집에 갈 사람들이 없는 거잖아. 그림, 신비, 산하 등. 그러면 여기선 이야기할 수 없는 거지.

 

 

(이후 논의는 출근하느라 기록하지 못했습니다. 좌인이 정리한 것을 올려주길 기대합니다.)


손님

2014.01.13 18:58:25

외국인 정민부터 실실거리다. 나교장.에서 빵터짐 ㅠㅠㅠ 도서관에서 소리내서 웃었다. ㅋㅋㅋ 유선의 이바지음식 웍샵도 웃겼음. 그나저나. 지비가 환대의 아이콘으로 부상하는가. (디디)

유농

2014.01.17 17:05:02

'나교장'이라 적은것을 두고 나마가 정민을 벼르고 있던데... 정민의 대사부분은 유농의 기록임을 밝힘 ㅋ

ㅈㄴㅈ

2014.01.14 05:51:22

제주에서... 잘봤어요..
고민거리가 하나 늘었..ㅋ

곰자

2014.01.14 05:59:50

 참여자에 곰자가 없다. 기억해두겠어 정민.

신비

2014.01.14 07:56:40

사실상 새집 회의는 사라졌군요.
제가 도중에 나간 것은 새집 회의가 학숙과도 연관 되어 있다 생각해서 학숙회의에 참여했기 때문입니다.
양해바랍니다.

나마스떼

2014.01.14 13:13:23

역쉬 정민!  쉽지 않았을텐데, 정리하느라 고생했어! ㅋ

하나 정정할 게 있는데, 센터 역할 논의에서 외부취재 얘기하다가 '우리만' 잘 살면 된다고 정리가 됐는데, 

'우리가'로 바로잡았으면.. ㅎ 의미가 좀 달라.

정민

2014.01.14 13:24:17

수정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2 빈마을 140201 새집 논의 정민 2014-02-02 3629
831 구름집 1월 24일 금요일 구름집 회의록 [1] 우더 2014-01-25 5153
830 빈마을 2014년 해방촌 빈마을 활동가 자기 프로젝트 file [3] 지음 2014-01-25 17017
829 빈마을 2014년 01월 19 일 계단집회의 집배치 사다리타기 file 지음 2014-01-25 6559
828 주력발전소 20140123 넓은집 회의록 [1] 자유2 2014-01-24 4852
827 주력발전소 20140116 넓은집 회의록 [2] 자유2 2014-01-22 4991
826 살림집 140121 살림집 회의록 [4] 정민 2014-01-21 4777
825 계단집 2014년 1월 19일 계단집 회의rock file [4] 신비 2014-01-21 5005
824 빈마을 [공지] 2014.01.19 마을잔치 file 찬이 2014-01-18 4803
823 빈마을 1.16 마을회의 [4] 유농 2014-01-17 4726
822 연구소 같이 읽을 사람!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 [21] 지음 2014-01-17 7202
821 구름집 1/16 구름집회의 오디 2014-01-17 5334
820 살림집 140114 살림집 회의록 정민 2014-01-15 5152
» 연구소 140112_학숙 회의록 [7] 정민 2014-01-13 4895
818 계단집 계단집의 역대 장기투숙객들 [4] 지음 2014-01-13 5086
817 계단집 140112 계단집 회의록 지음 2014-01-13 4900
816 주력발전소 20140109 넓은집 회의록 자유2 2014-01-10 4891
815 구름집 구름집 회의록 1월 9일 목요일 [7] 죠죠 2014-01-10 5154
814 마실집 1월 7일 마실집 회의 [1] 유농 2014-01-07 4923
813 연구소 140105_학숙 회의록 [7] 정민 2014-01-06 5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