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화폐팀들이 대전 한밭레츠를 다녀 왔습니다. 
작년 <대안금융 세미나> 때 한밭레츠 사례를 들었지만, 
올해부터 해방화폐를 시작하다보니 새삼 궁금한 것들이 늘어 나더라구요. 

작년 <대안금융 세미나> 때 진행했던 자료도 살펴보면서 
더 궁금했던 부분들을 뽑아서 질문을 던졌습니다. 

인터뷰 내용이 짧막하게 기록되서 도움이 안될 수도 있지만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공유해요~~~ 


[영상자료] 그것이 알고 싶다 - 한밭레츠 




초기 70명으로 출발한 한밭레츠, 회원확대 과정 

대전 의제21와 녹색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삼성동에 모여 있었다.  
그 단체들의 회원들이 참여하고, 선후배 소개, 신문홍보를 통해 모여들었다. 
당시 경제적 어려움이 없다가 IMF를 맞이하던 때였으니, 대안적인 삶에 대한 고민이 사회적으로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화폐라는 개념을 이해시키기는 지금보다 훨씬 더 어려웠다. 

거래가 성사시키는 것도 어려웠다. 
중고물품 같은 경우, 그냥 줄 수도 있는데 이걸 꼭 가격을 맺어야하는 가? 라는 의문들도 제기하고.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고민하다가 
그리고 회원들이 전체 모이는 자리를 만드는데 그 곳에서 두루거래의 경험과 학습을 쌓도록 기회를 만들었다. 
음식도 다 만들어서 준비하가 너무 힘드니까 포틀럭파티처럼 진행하기로 했다.
초창기엔 지역경제? 나한테 도움이되는? 것보다는 ‘공동체성’ ‘이웃이 좋아서’ 모이는 거였다. 
그래서 친구들을 통해 회원 가입이 되거나, 언론 홍보를 통해 회원수가 늘었었다. 

가장 폭발적이고 안정적이었던 건 ‘의료생협’을 만들면서였다. 의료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중고물품을 거래하던 레츠가 사람들에게 다른 체감으로 다가가게 만들었다.
처음 중고물품 거래나 반찬 거래를 하다가 한의원에서 50%를 두루로 받기 시작하자
중고물품 거래에서도 두루로 받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병원에서 두루를 사용하면 -계정이 되니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라도 거래에 가치를 부여해서 레츠로 교환하게 되는 것.
두루 거래의 질적 차원이 달라지게 된 계기였따. 


공간 

특정한 사무실도 없이 운영하다가 공간 독립을 할 필요가 있었을 때, 
화원을 운영하는 곳에서 공간 사용 2001년. 1년 정도 쓰다가 의료생협이 생겼을 때 2007년까지 같이 있었다.

지금 이 공간은 출자를 통해서 마련했다. (보증금: 1천만원 / 월세: 42만 2천원)  


조직 형태 

비영리 민간단체   


초기 인건비는 얼마나 들었나? 활동가는 몇 명? 어떤 역할?
의제21 상근자였던 활동가들이 시작했기 때문에 인건비를 따로 받지는 않았다.  
그 곳 일을 그만두고는 20만 두루만 받다가, 2001년 의료생협이 만들어지고 나서는 인건비를  그 곳에서 받았다. 
레츠 실무자를 앉혀야할 때, 녹색연합 실무자로 일하던 부인을 앉혀서 20만원, 20만두루 지급. 
2003년 아이 출산으로 그만둘 상황일 때, 체납된 인건비를 해결하기 위해 후원파티도 진행한 바 있었다. 
물품 후원을 받아서 경매를 붙인 뒤, 인건비 지급 해결. 

어떤 활동가는 갑자기 잠적한 적이 있어서, 1일 1명씩 주부 활동지기들이 투입됐다.
업무 인수인계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고.
그러다 내가(모래무지) 실무자로 일하기 시작했다.
2003년, 60만원, 20만두루를 받기 시작했다. 
82만 5천원으로 올라간 때가 한 3-4년 전 쯤? 
최근, 원도심레츠 운영비도 감당해야 해서 인건비를 줄여야했고, 
나도 일을 좀 줄이고 싶어서 일주일에 3일 일하는 걸로 해서 50만원 정도 받고 있다. 


현재, 햔밭레츠 사무국 2명 원도심 실무자 1명 + 자원활동가 2명 (두루지급: 일주일 1일 돕고 5만두루 정도) 
역할은
- 프로그램 거래보고 완료 체크 (기존에 일일이 기입했었으나 이용자들이 자동 입력하기 시작한 게 5-6년 전이다) 
- 농산물 거래
   현금 및 직배송 관리 일을 홈피에 접수를 받아서 배송 과정을 관리하고 돈을 모아서 보내는 역할 
- 사무실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레츠 거래
- CMS, 회계 관리 
- 기획, 연대활동 


한밭레츠 / 원도심 레츠 구분 

원도심레츠가 독립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아직 시간이 걸린다. 한밭레츠에서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마을기업 지원비는 인테리어비, 인건비 등으로. 
원도심레츠와 까페는 회원 출자를 통해 공간 마련. 


월 회비는 현금? 두루? 

초창기는 2천원을 직접 받았다. 현재는 5천원인데 (가구수당) 수입이 없을 경우 두루로 받기도 한다. + 후원 
직접 받다가 이후 지금의 활동가가  CMS 추진. 

다른 지역화폐 사례를보면, 인건비 지원을 받다보니 회비를 내도록 유도하지 못하더라. 
회비 체계를 중간에 도입하는 건 훨씬 어려운 일이다.
발자국이 늦게 때더라도 지속가능성을 갖을 수 있도록 회비 제도를 도입하는 게 꼭 필요하다. 

'지역의 공동체를 위해 후원합니다’라는 인식을 갖기 어렵다. 
내가 이용하지 않으면 돈이 아깝다고 인식하게 된다. 


두루 계정  입력하는 관리 방법 

번 사람이 입력하게 돼 있는데, 다 오픈하니까 쓴 사람이 입력하기도 한다. 
중복거래가 있을 수도 있는데, 실무자한테 얘기하면 바로 수정. 
잊었던 거래 1년 뒤에 올리기도 한다. 누락되는 것도 있고.(누락되도 문제되지 않는 거래들) 
의료생협의 경우 실무자들이 다 업로드 했었었다. 
자원봉사자가 의료생협에 항의한 후, 의료생협에서 알아서 업로드하고 있다. 

창구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전화, 기록하기 등. 

초기에는 1년치 거래계정을 정리해서 우편으로 보내줬었다. 
2006-7년에는 폭발적인 거래가 늘어나면서 프로그램을 고민하고 준비했다. 
프로그램이 만들어진 후에야 두루의 상황이 파악되면서 멘붕해지는 사람들도 생기고..ㅎㅎ 


의료생협 두루가 쌓이지 않나? 

그렇지 않다. 
의료생교육활동, 소모임, 식사 준비 때 농산물 구입 등으로 두루를 다 쓴다. 

레츠에 가입하기에 복잡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레츠는 보험이 적용되는 곳만 쓸 수 있다. 비보험은 20-50% 정도 두루사용이 가능하고. 
해서 자체적으로 건강화폐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이 화폐는 비보험에만 쓸 수 있다. 


지역화폐를 운영하고 있는 다른 사례 

서천레츠 : 남성 중심/ 귀농 농촌/ 어떤 할아버지 ‘누가 내 도움이 필요하다’하면 달려간다./ 
과천품앗이 / 은평품앗이 (서울시 복지재단, e품앗이) / 송파품앗이 (자원봉사 센터 내 - 거의 중지 상태) 
부산 사하 품앗이 / 대구 늘품 (복지관) / 부산 동원복지권 


#  기타 얘기 

-  탈퇴할 때는 0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회비는 꼬박 꼬박 내야하고. 
-  바빠서 6-7년 활동하지 않는 사람도, 레츠에 좋은 기억이 있는 사람들은 회비를 계속 낸다. 

*** 실무자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 
*** 한꺼번에 많은 걸하지 말고 간단하게!!! 즐겁게!!! 


# 워크숍은 어떻게 진행하는가? 

레츠 자료실에서 워크숍 자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