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마을금고의 형식과 체계를 잡느라고 다소 고전하고 있습니다.

천천히 논의해서 결정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논의가 되어야겠지만...

일단 5, 6, 7월은 확정을 짓고 가야 할 것 같아서...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주 마을회의 때 확정해서 3개월은 일단 진행해 봅시다.

 

1. 아랫집, 옆집, 윗집 분담금 통합운영

- 각 집 출자금 모두 금고로 출자

- 각 집 보증금 만큼 금고에서 6%로 대출

- 각 집 대출금과 그에 따른 이자, 월세 금고로 이전

- 세 집의 장기투숙자들 공과금 제외 분담금 균일 7만원씩 빈마을금고로 납부.

- 출자금에 따른 이자/배당금의 액수 및 지급 방법은 추후 결정

 

2. 건넛집

- 대출금의 경우는 빈금고가 인수하는 것으로. 조건은 논의해야 함.

- 건넛집 출자금은 어떻게 할 것인지 논의해야 함.

 

3. 경비 지출

- 호스팅비 : 월 1만원

- 도메인비 : 년 2만원 미만. 정확한 금액은 확인후 추가

- 빈동물 양육비 : 사료 및 모래 등 : 월 3만원 미만

- 또 더 필요한 것은 없나요?

 

4. 대출

- 빈침대 : 60만원 : 이율은?

- 빈공동구매 : 쌀, 밀 등 공동구매용 자금 대출 50만원?

- 빈맥주 : 원액 등 구입자금 : 20만원?

- 빈텃밭 : 옥상텃밭 다라이, 퇴비 등 : 20만원?

- 빈가게 : 빈가게 보증금 대출 : 300만?

- 빈집 : 새 빈집 추진팀 구성... 보증금 대출... : 1000만?

- 조합원 단기 대출 : 3개월, 50만원 미만, 6% ~ 12%

 

5. 출자금 모금

- 조합원 모집. 가입금, 기본 출자금.

- 추가 출자금 모금.

 

6. 창립준비

- 창립준비위원회의 (슈아, 자주, 지각생, 지음)

- 일단은 지음이 재정실무 담당.

- 창립 총회 : 6월 11일?

- 다람쥐회와의 관계 정립

 

 

 

 

일단은 여기까지...

아직 작성중입니다...

마을회의 전까지 정리완료하겠습니다.

덧글로 의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