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 / 공유 / 환대의 공동체 네트워크


집이름 : 해방촌 게스츠하우스 빈집 “해방촌민박”
주소 : 용산동2가 5-1519 4층, 용산동2가 22-12 3층
제안자들 : 지음, 살구, 지각생, 깜찍이, 미나, 존도우, 켄짱, 우마, 나루


전월세 임대차계약 사항 : 용산동2가 5-1519 4층
명의자 : 나윤미(살구), 김승택(지음)
계약기간 : 2008.2.21-2012.2.20
보증금 : 전세 1억 2천만원
월세 : 0원
보증금 현황 : 빈고 외 출자, 차입금 없음.


전월세 임대차계약 사항 : 용산동2가 22-12 3층
명의자 : 나윤미(살구)
계약기간 : 2010.3.1-2012.2.28
보증금 : 1천만원
월세 : 25만원
보증금 현황 : 빈고 외 출자, 차입금 없음.


빈고 빈집대출계약 신청 사항
계약책임자(3인 이상) : 지각생, 존도우, 깜찍이, 미나, 우마, 켄짱, 지음, 살구, 나루 (전원 유효조합원)
계약기간 : 2011.6.1 ~ 2012.2.28
대출금 : 13000만원
빈집세 : 100만원(64만원+36만원) + 단투분담금의 일부
재정담당자 이름 : 깜찍이, 미나, 지음
적정 장기투숙자 수 :  해방민박 6명 + 단기투숙자 약간명
                                 작은집 4명 +


집 소개와 제안의 이유
아랫집은 2008년 빈집의 시초가 되었던 집, 앞집은 2010년 새로운 가능성과 기타 사정으로 계약한 집이다. 현재 두 집 모두 계약이 내년 2월 말 3월 초엔 종료가 된다. 재계약을 할지는 모를 일이다. 법적 계약자 뿐만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장기투숙객으로서 집에 대한 책임감을 더 가지고자, 빈고에서 함께 출자하고 함께 대출받아 빈마을에 소속되었다는 사실을 공유하고자 대출을 신청하며 제안한다.



과거, 현재, 미래
현재 6월 재배치 이후, 기존 아랫집은 게스츠하우스와 생산집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정리 및 세팅 중이고, 기존 앞집은 실험을 목표로 시작했으나 여러 사정 상, 되고 있지 않은 상태. 먼저 살림을 바로 잡고, 깜찍이 시험이 마무리 되고, 우마 다리 낫고, 지각생 가게가 안정되는대로 기존의 목표를 다잡을 필요가 있다.

 

 

장기투숙자 소개
지음
살구
미나
켄짱
존도우
나루
지각생
깜찍이
고살라
우마

운영 계획
공유
분담금 원칙 (공간분담금, 식비, 잡비, 마을활동비 등)
기본 : 하루 공간분담금 3000원 이상 + 식비 1000원 이상 + 3000빈 이상
단기투숙자 최초 1일 : 무료 이상

                 이후 1주일 : 1일 7000원 이상

                 이후 3주일 : 1일 4000원 이상 + 3000빈 이상

 

1달 이후 장기투숙자

         선불 13만원 이상 + 9만빈 이상 + 적자 총액 공동분담 + 1만원 이상 빈고 출자

 

1달 이후 단기투숙자

선불 21만원

빈화폐 운영

Gs'H 빈집 발행

초기 준비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 적정량의 빈 지급

장기투숙자들은 역할 분담을 하고 월 적정량의 빈 지급

공간 켄짱, 살림 미나, 공유 지음, 소통 살구, 환대 지각생, 생태 우마, 생산 존도우, 농사 깜찍이, 언어 고살라

분담금 낼 때 화폐와 함께 빈화폐도 납부

빈 적자 누적시... 원으로 납부.



빈고와의 관계 (출자금 원칙, 잉여금 처분 원칙 등)

장기투숙자는 모두 빈고에 가입하고 매달 출자한다. (분담금 납부시)

단기투숙자 분담금의 절반은 빈고에 선물한다.

잉여금이 발생할 경우는 장기투숙자 각자의 이름으로 빈고에 출자하거나 선물한다.


외부와 공유할 수 있는 핵심 생산물들

환대 (누구나 올 수 있고, 오고 싶은 곳으로 만든다. 빈마을의 컨택 포인트)

밥과 반찬(밥을 같이 먹고, 반찬은 많이 해서 이웃과 나눈다.)

세미나(빈집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기투숙자(빈집에서 오래 살 사람들, 빈고 조합원들이 많아지게 한다.)

출자금과 선물(단기투숙자를 많이 유치해서 빈고에 출자 또는 선물한다.)

마을활동(빈가게, 마을잔치 등에 적극 참여한다.)


환대
단기투숙자 환대 가능한 인원 수 및 방

손님방 2개, 장투 방은 12명(장투 10명 포함)

 

지켜주었으면 하는 규칙과 분담금

단기투숙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든 올 수 있다. (첫날은 분담금 없음)

다만, 빈집과 어떻게 같이 살아갈 지에 대한 얘기를 나누면 좋겠다.

        

제공 가능한 서비스와 자원
깨끗한 공간, 행복한 밥상, 즐거운 수다 등등

 

방문 문의 연락담당자

우마(010-2501-오사삼일)

집전화번호(070-8242-1968)


 

자치
장기투숙자 원칙
빈고 조합원이어야 한다.

출자 목표를 정하고, 적극적으로 출자한다.

빈집에서 역할을 맡고, 빈을 벌 수 있어야 한다.

        

정기모임 시간

일요일 7시 저녁만찬

수요일 10시 회의

 

모임담당자

집사

우마, 존도우

기타
테마, 가치, 활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92 빈마을 빈마을활동비 관련한 생각들... [1] 지음 2011-12-02 4982
791 빈마을 첫 집사회의에서 얘기한 것들 [2] 지각생 2010-09-26 4983
790 공부집 공부집재정 10,11월 [1] 손님 2011-12-02 4984
789 빈마을 20180329 빈마을 회의 사씨 2018-03-30 4984
788 빈마을 사진슬라이드 티져: 꼴라쥬 file [4] 손님 2010-06-22 4985
787 빈마을 홈페이지의 "집들" 카테고리를 바꿉니다 (공부집 신설 등) [1] 지각생 2011-05-25 4985
786 빈마을 12월 빈마을잔치 - 회의록 [1] 지각생 2010-12-28 4986
785 낭만집 7월31일 낭만집 회의 [6] 손님 2011-08-01 4987
784 소담 20170505 노는집 회의 * 어린이날 사씨 2017-05-06 4987
783 빈마을 7월 10일 토요일 아랫집 손님방에 여자손님 2명 투숙! [1] 몽애 2010-07-08 4990
782 빈마을 마을활동비 상호부조 분리해서 정리해둡니다. file 쿠우 2012-09-05 4990
781 주력발전소 20140116 넓은집 회의록 [2] 자유2 2014-01-22 4991
780 구름집 20160614 구름집 회의 [1] 수수 2016-06-15 4991
779 구름집 170730 구름집 회의 [2] 혀언 2017-08-01 4992
778 계단집 오랜만의 5월 10일의 계단집 회의록~~ [4] 미나 2012-05-13 4993
777 아랫집 새로운 아랫집 배치를 위한 회의(>) [3] 손님 2010-05-04 4994
776 살림집 140706 살림집회의록 [1] 정민 2014-07-07 4994
775 빈마을 빈마을 회계 중간보고 [2] 유농 2012-12-16 4995
774 앞집 앞집 난민들 [1] 쿠우 2012-01-29 4995
773 빈마을 쌀이 선물로 들어왔어요 [4] 말랴 2010-09-13 4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