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집사회의를 거쳐서

게스츠하우스의 성격을 띠는 빈집들이 함께 재정을 운영하게 됐습니다.

 

우선 제가 주장 겸 회계로 계좌를 만들었구요.

 

기업은행 010-0221-0221 (김성민 빈집) 입니다.

 

각 집 회계들은 5월치 분담금(빈집세?)를 이 계좌로 내주시면 됩니다.

계단집 해방채는 70만원에서 각집의 월세를 제한 금액을

공부집은 80만원에서 월세를 제한 금액을 내주시면 돼요.

 

이 계좌에는 많은 돈을 쌓진 않구요.

대부분 빈고에 적립해놓고

한달동안 쓸 정도의 여유분을 넣어놓고 사용합니다.

 

각 집에서 빈집세를 내면

그돈중 빈집이 빈고에서 빌린 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고

나머지는 마을잔치, 회계활동비, 고양이 밥값 등 각종 마을 활동비 지출과 각집의 여러 재정위기에 대응하는 상호부조용으로 사용합니다.

 

우선 회계업무를 조금더 확정해나가는 기간이 필요할 것 같고

5월에는 일단 주장인 제가 회계업무를 하는 것으로 했습니다.

이후 일의 양이라든가 운용의 여러 상황을 보면서 각집 회계들에게 일을 분담하거나 고정적으로 일을 할 회계업무를 만들어나가거나 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시스템을 갖추는데 여러가지 논란이 있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기존의 빈집들도 집세+빈고 이자+마을활동비를 합친 빈집세를 냈고 이를 처리하는 것을 빈고에 맡겼습니다.

하지만 마을의 일은 마을 집사회의에서 처리하는게 맞지 않느냐 하는 이유로 마을의 계좌를 만들고 마을의 재정을 집행하는 사람을 만든것입니다.

 

집세는 각집에 실제로 사는 사람들이 직접 집주인에게 납부하게 됐고

빈고대출분에 대하 이자를 직접 할 것이냐 모아서 할 것이냐 논의가 치열했습니다.

결국 집사 표결을 했고 주장인 제가 캐스팅 보트가 돼서 빈고 이자분을 모아서 빈고에 납부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각 집이 따로 빈고와 관계맺는 것이 아니라 빈집게스츠하우스라는 공동의 이름으로 빈고와 관계맺는 것을 의미하며

빈집의 집사회의의 주장이라는 역할과 최근 몇개월동안의 집사회의의 흐름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결정한 것입니다.

또한 약간의 잉여금을 빈집계정으로 같이 모아서 각집의 어려운 재정상황에 함께 대응하고 새로운 활동들을 같이 지원하는 것도 빈집재정으로 하게 됩니다. 이는 작년부터 모아온 마을활동비를 기반하고 앞으로 모아가는 잉여금으로 이뤄지며 우선 작년부터 걷어왔던 마을활동비는 잠시 중단하게 됐습니다. 앞으로 이 돈으로 상호부조와 마을활동을 같이 커버하게 됐는데 앞으로 마을활동비를 어떻게 쓰고 어떻게 모아 갈것인가에 대해서는 조금더 논의가 필요합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이 결정은 어떠한 법적 구속력을 갖거나 다시 번복되지 않는 영원한 것은 아닙니다.

집사회의 때도 치열한 논의가 있었고 끝내 모두가 합의하는 안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다만 서로의 이견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우선 이렇게 시행해보자!는 정도의 결정이며 앞으로 사람들과의 논의와 또 여러가지 상황이 생기면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게시판을 통해서 이부분에 대해서 좀 더 많은 얘기를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빈집에서 팽팽한 논의가 있을 때 다수결로 처리하는 방식은 결코 바람직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우선은 이렇게 결정됐지만 결정된 사항에 대해서 자유롭게 비판이나 제안, 대안 등을 얘기하면서 서로 좁혀나가고 수정, 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아요. 위 사안은 단순한 돈문제를 넘어서 빈집이 뭐냐, 빈마을은 뭐냐, 빈고와 빈집은 어떠한 관계인가, 각집은 어떤 관계인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여러가지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하고 곧 이에 대한 글을 쓸 것입니다. 어렵고 머리아프다고 외면하기보다는 관심을 보다 갖고 논의에 참여하고 지켜봐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각 달마다 마을활동비 지출 내역에 대한 글을 올리고 여러가지 지출상황을 계속해서 업데이트 할 생각입니다.

이걸 장부로 하고 따로 장부를 쓰지 않을 생각인데 괜찮을지요?

마을활동비를 지출한 사람은 저에게 말해주시면 돈을 지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왕이면 공개적으로 덧글로 남겨주시면 더 좋겠네요.

 

빈집 재정에 기여하고 싶으신 분은 누구든 개인자격이든 집 단위든 위 계좌로 선물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52 공부집 12월 18일 공부집 회의록 - '김장비용과 마을활동비'에 대한 비판 - 빈마을 전체적으로 다시 얘기 할 것인가?, 그리고 빈마을에 대한 이야기들과 대안 - 빈가게, 빈고, 집사회의, 각집 들간의 소통 [3] Che 2011-12-20 5125
551 구름집 11월 17일 구름집 회의록 우더 2013-11-18 5126
550 공부집 20130314공부집회의록 청하 2013-03-23 5126
549 빈마을 2.21금요일 빈집6살생일잔치 까페해방촌 정산입니다. 유선 2014-02-26 5126
548 구름집 3월 3일 구름집 회의록 [2] 하람 2014-03-04 5126
547 공부집 6월 10일 공부집 회의 [1] 손님 2012-06-12 5127
546 구름집 20140812 구름집 회의록 한돌 2014-08-13 5128
545 빈마을 후암동 약수터밭- 변화- [1] 산하 2013-05-17 5129
544 소담 2017.11.9 짜잔 노는집 회의록입니다. 우더 2017-11-14 5129
543 앞집 윗집-->앞집 으로 카테고리 변경했어요. [1] 살구 2010-10-16 5130
542 구름집 2015.5.28 구름집 회의록 [1] 지비 2015-05-29 5130
541 살림집 20131107_살림집 회의록_정민 정민 2013-11-22 5131
540 살림집 우정국 이사 풍경 file 수정채 2016-03-19 5131
539 구름집 20150514 구름집 회의록 한돌 2015-05-15 5131
538 공부집 5월 1일 화림의 녹취록.. <공부집 회의> [3] 산하 2012-05-03 5132
537 빈마을 8월 전체회의 [1] 미나 2010-08-30 5133
536 살림집 살림집 단투 신청합니다 :) [3] 그림 2013-09-03 5133
535 연구소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 > 7,8 장 발제문 file [1] 지음 2014-02-21 5133
534 구름집 20170224 구름집회의 file 막도낼드 2017-02-25 5133
533 빈마을 5/2 집배치 관련 회의 결과 [1] 지음 2010-05-04 5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