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이란 무엇일까?


철학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은 무엇일까?

내 생각은 어떻게 내것이 되었을까?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질까?

인문,철학,역사를 배우는 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대한민국 최고의 석학들에게 배우는 인권, 철학, 인문, 역사.

인권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이제 배워보고 싶은 청년분들 환영합니다.


인생의 고민에 답을 주고 비슷한 또래의 청년들과 생각을 나눌 수 있습니다.


단순한 생각이 아닌 교육을 통해 성장하는 기쁨을 나눠요.

올해로 15기째를 맞이하고 있는 보증된 청년인권 학교에서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문의전화는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클릭시 신청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인권연대 홈페이지의 칼럼인 사람소리나 팟빵 '라디오방송 오늘!'도 사랑해주세요!              




조효제

 인권, 평화, NGO 연구로 잘 알려진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이다. ​저서로 <인권의 지평>, <인권 오디세이>,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 <인권을 찾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직접행동>,<세계인권사상사>, <전지구적 변환>, <머튼의 평화론> 등이 있다.


고병권

철학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비판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자와 하녀>,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천 개의 눈 천 개의 길>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한 권으로 읽는 니체>, <생각한다는 것>,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는 <소박한 자유인> 발기인 및 장발장은행 은행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악역을맡은 자의 슬픔>,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천주희

성공회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문화학과에서 문화학과 여성학을 공부했다. 학생 채무자이자 부채 연구자로 한국의 청년부채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대학생은 어떻게 채무자가 되는가」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청년부채 · 노동 · 빈곤 등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노오력의 배신>(공저),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난가>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과 천주교 인권위원회 사무국장을 거쳤다.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을 썼고, <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을 함께 썼으며, <리영희프리즘>과 <기억하라 연대하라 - 강우일 주교에게 듣는다>,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학교>를 기획했다.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이털남>에서 ‘오창익의 인권이야기를 진행했고, <시사통>의 ’인권통‘을 진행했다.


오인영

 19세기 자유주의 연구로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 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고려대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10회 넘게 수상했으며, 논문으로는 <헤이든 화이트의 역사적 상상력>, <자유주의의 진화과정에서 본 신자유주의>, <어느 역사학자의 자기반성> 등이 있고, <과거의 힘>,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등을 번역했다.


김종철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세계를 황폐화하는 근대의 도시-산업 문명에 대해 숙소하며 우정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영문학과에서 수학한 후 영남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시와 인간의 역사적 상상력>,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녹색평론 서문집>, <땅의 옹호-김종철 평론집>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20210225 빈집 게시판&공통장&폰 정리 회의 [1] 사씨 2021-02-26 12961
공지 '2014 겨울 사건의 가해자 A'의 게시글에 대한 빈마을 사람들의 입장 [19] 정민 2016-05-19 154611
2000 "꿈꾸는 아이들의 학교"에서 방문 요청이 왔습니다. file [2] 지음 2012-04-04 1736
1999 안녕하세요, 공간 민들레의 나래와 은혜입니다:) file [2] 손님 2012-04-21 1738
1998 맘상모 펌) 핫한(?) 동네상권 손님 2014-11-27 1739
1997 노들 텃밭 개장 연기 5월 5일, 추가 밭 확보 가능할 듯. 지음 2012-04-26 1740
1996 [개강임박] 철학, 미학, 영화, 소설쓰기 등의 강좌가 6월 25일(월) 시작됩니다! 손님 2012-06-22 1741
1995 눈에 띈 공동체에 대한 것. 아마도 관련영상이 있을듯 [1] 화자 2015-03-13 1741
1994 현재 가출중인 로보 입니다. [6] 로보 2012-07-31 1742
1993 전세계 사운드 아티스트들과 동시접속! 헤드폰을 위한 콘서트 {르 플라카드}! 손님 2010-08-11 1744
1992 음... 저기~ 토요일 날 빈집에 놀러가려고 하는데요 (김냉) 김냉 2012-07-20 1744
1991 6월1일(월) 저녁8시 변두리 영화제 : 베를린 노동절 – 노동의 영웅들 손님 2015-05-22 1748
1990 빈집 DIY 문신 워크샵 제안 [5] G-raf 2010-06-04 1750
1989 [펌글] 세월호 특별법 반대하는 새누리당, 대체 왜? 파스 2014-08-01 1751
1988 (모집) 한살림 청년살림학교 참가자 모집 손님 2015-05-07 1752
1987 하남 판소리모임 소리길 공개강좌 안내 (12월 1일, 8일) file 손님 2014-11-24 1755
1986 나랑 일요일에 남이섬서하는 레인보우 페스티벌 갈사람~ 화림 손님 2012-06-08 1759
1985 하와이 과일 페스티벌 [1] 손님 2015-03-23 1760
1984 장기투숙 문의합니다. [2] 손님 2012-08-03 1761
1983 8.15일 카레대전!! file 손님 2014-08-14 1762
1982 [2015 청년학교]실패해도 괜찮아! 너와 나, 우리가 함께 만들어나아갈 새로운이야기. 손님 2015-03-27 1762
1981 아나키즘이란? - 다 바꾸기 위하여 file [1] 손님 2015-02-23 1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