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6일 사랑채 회의

사랑채 조회 수 4811 추천 수 0 2016.04.07 09:25:26

4 6일 사랑채 회의록]

 

참여: 둥쟁 정민 나마 연화 보연 마카롱 양군 곰자

 

진행: 나마

 

근황공유

 

곰자 사람들이 와서 빈둥거릴 시간이 부족해 아쉬움. 가계약 완료.

나마 교육을 열심히 듣고 있음. 4 22일까지 계속 돰. 빈가게는 내일부터 공사 들어가서 늦으면 20일 중으로 공사가 완료될 예정.

둥쟁 저번주 수욜이 바로 어제 같은 느낌이 들어요. 내가 뭘 했는지 기억이 안남.

정민: 놀러왔다. 우정국 구름집 사랑채 돌아다니고 있음. 빈고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음.

양군: 열심히 딩굴딩굴

마카롱:

보연: 운동을 하다 다리를 다쳤는데 점점 심해져서 춤을 못 추고 있음

연화: 정신과 치료 받기 시작했음, 약 먹고 있음. 그 동안 한계치를 넘어선 것 같다.

 

 

안건

 

연화: 상황에 대한 논의

 

나마: 상황이 마무리 되었는데, 차후조치가 이행되었나. 페이스북에서 사과 등등

 

연화: 했다.

 

곰자: 아버지와 어떻게 이야기가 되었는지?

 

연화 : 정신과 진료비와 월세를 지원해준다고 했다. 2주에 한번 전주에 온다는 조건으로

 

정민: 중요한 건 연화씨가 힘들어 보인다는 건데, 주변 사람들이 상황을 잘 모르고 있었고, 우리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지를 고민해 보았으면. 연화씨가 어떤 게 필요한지도 궁금.

 

곰자: 공개적인 곳에서 이야기를 하기 뭐하면 나중에 따로 이야기를 하면 좋겠다……

 

연화: 생각을 정리 중이다. ………..

 

잠시 중단.

 

나마: 이 자리에서 말하고 싶었던 건 페이스북을 보고 놀란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 재발 방지에 대한 약속도 해주면 좋겠다.

 

둥쟁: 지금 본인은 괜찮으신가요?

 

연화: 지금은 좀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곰자: 지금 연화가 마음에 와닿지 않는다면 고나리질로 들릴 수 있다. 우리가 제안했던 것들에 대한 상호이해가 필요하다.

:

나마: 냉정하게 말했을 때, 연화가 또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 때 이 상황을 빈집이라는 이름으로 책임을 질 수 있을까?

 

정민: 그렇긴 하지만 같이 사는 게 어느 정도는 좀 같이 책임지면서 살자고 이러는 거 아닌가..

 

곰자 : 둘의 말이 다 이해가 가는데, 연화씨가 어떤  부분이 힘들고 어떤 게 필요한지 상호간의 소통이 오가는 부분이 있어야 하는데, 그 동안 아무것도 오가지 않았다. 나마의 이야기는 그런 게 필요하다는 이야기.

 

정민: 혼자 있으면 더 우울해지고 기분이 더 안 좋아지는데, 1,2층으로 나뉘어있어서 서로 볼 일이 없는 것 같다. 지난 며칠 사랑채에 놀러왔는데 연화를 본 적이 없다. 사람들과 같이 지내면 좋겠는데, 공간을 1층으로 옮겨서 지내는 방법은 어떠한지?

 

연화: 일단은 혼자 정리하는 게 필요하다.

 

곰자: 그러면 사랑채 2,3층도 4월까지만 쓸 수 있으니 4월 한 달은 혼자서 마음정리를 하면 좋겠다.

 

나마: 아무튼 책임 있는 행동과 연화의 몫을 감당했던 사람들을 챙겨주는 게 필요하다. 마카롱에게도 다른 의미로 필요하고.

 

 

 

곰자: 공간정리- 가계약 부분에 이어서 말을 하자면, 투덜투덜 거리던 사람들이 가계약을 했는데, 안건으로 프린터기를 비롯한 공용 물품을 어떻게 해야할 지, …… 27일까지 짐정리.

 

나마: 24일 주말에 프린터기, 2층 큰방 책장. … 프린터기 어찌하나정민 집?

 

양군: 회사물건 어쩔거여? (빈가게)  23일날 짐 옮기고, 24일날 정리. 그때까지 다 냅두고 버릴 건 내 알아서 버림.

 

나마: 더 하실 이야기는?

 

마카롱: 사랑채 내 바퀴 문제. 바퀴약 사자

 

정민: 맥스포스겔 하나 사면 양이 엄청 많은데 빈마을 차원에서 공구를 하면 좋을 거 같다

 

양군: 연화가 빈집에 사는 문제를 고민해야 할 것 같다, 사랑채 2,3층이 정리된 뒤에 집을 옮길 때 다른 집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생각해봐야 할 거 같고. 예전에도 유사한 사건이 있었고, 어떻게 주변 사람들이 생각하느냐. 연화에게도 힘든 일이지만 다른 이들이 느끼기엔 정서적 폭력으로 다가올 수 있음. 누군가 그런 걸 문제제기하고 폭력으로서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면 같이 사는 게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두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72 빈마을 2/28 빈마을회의 [2] 몽애 2010-03-02 4817
471 살림집 130321 살림집회의 [2] 연두 2013-03-22 4816
470 아랫집 12/25일 아랫집 회의 회의록 지음 2011-12-26 4815
469 아랫집 아랫집 이모저모 + 3월 재정정리 [5] 우마 2011-03-30 4815
468 구름집 20150618 구름집 회의록 수수 2015-06-19 4814
467 아랫집 아랫집의 개인짐들 정리해주세요 (특히 남자방) [4] 손님 2010-05-10 4814
466 아랫집 심심한데 우리, [2] 연두 2010-02-24 4814
465 빈마을 161117 빈마을회의록 정민 2016-11-19 4813
464 빈마을 전기요금측정하는 콘센트같이 생긴 기계 어디있는지 아는사람~ 손님 2016-11-14 4813
463 주력발전소 넓은집회의록20141017 자유 2014-10-17 4813
462 빈마을 우리마을 프로젝트, 마을예술창작소 지원사업 [1] 지음 2012-09-04 4813
461 빈마을 150618_마을회의록 베롱 2015-06-23 4812
460 구름집 2014/12/16 구름집 회의록 지비 2014-12-17 4812
» 사랑채 4월 6일 사랑채 회의 손님 2016-04-07 4811
458 빈마을 열린집사회의 1/29(토) 밤 9시 아랫집! [1] 들깨 2012-01-27 4810
457 우정국 5월14일 우정국회의 [2] 양군 2017-05-15 4809
456 연구소 131229_학숙 회의록 [7] 정민 2013-12-30 4807
455 계단집 2013년 3월 14일 목요일. 계단집 회의! 유선 2013-03-18 4806
454 구름집 서원의 공적을 치하하는 사진들 file [3] 수수 2015-06-12 4805
453 빈마을 생산집 + 게스트하우스 테마 논의 첫번째 - 결과 file [2] 지각생 2011-05-20 4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