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읽으면 좋을 것 같아 반폭력모임 게시판에 올려요. 


(http://hr-oreum.net/article.php?id=2276)에서 발췌



"최근 나를 포함한 반성폭력 위원들끼리 어떤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성폭력 사건을 대할 때 곤혹감을 느낄 때가 있다는 것을 서로 확인한 적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공동체 안에서 우리가 성폭력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 각자가 느끼는 것, 부딪히는 고민을 함께 나누고 싶었다. 반성폭력 교육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안에서도 성폭력 사건을 맞닥뜨리는 과정에서 불편함, 방관적인 태도 등을 보이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해받지 않기 위해서는 사건 해결 과정에 지나치게 연관되지 않는 게 낫다는 생각,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위원회의 처리 과정’만 지켜보게 되는 입장, 빨리 사건이 종결되었으면 하고 바라게 되는 불편함 등 성폭력 사건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생각을 사랑방 사람들도 가지고 있었다."


"한 사건을 개인이 아닌 공동체로서 해결하는 과정은 결국 ‘우리는 서로를 신뢰하는가’, ‘우리 공동체는 과연 좋은 조직 문화를 지녔다고 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다. 사실 많은 단체들은 성폭력 사건이 일어나면 그것을 조직 전체의 문제가 아닌 한 개인의 잘못으로 치부하거나, 정파적 갈등으로 의미를 축소하고는 한다. 결국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그 단체에서 사라짐으로써 문제가 ‘해결’(정확히 말하면 은폐)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최근에 접한 한 단체 의 성폭력 사건, 작년의 진보신당 성폭력 사건 등 진보적이라는 사람들이 뭉친 조직에서조차 이러한 모습을 보일 때의 실망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그러한 상황은 결국 그 단체가 추구한다는 가치가 진정 그 공동체 성원들이 공유하고 고민하는 가치인지 의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게 한다.

공동체에서 성폭력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은 공동체의 가치를 다시 고민해보고, 조직 문화를 점검하고, 서로의 신뢰 관계를 확인하는 계기일 수 있다. 성폭력 사건이 일어났을 때 공동체가 어떠한 행동을 취하느냐는 결국 비슷한 사건의 재발을 막는 것은 물론 공동체의 존속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피해의 진정한 치유’로서 성폭력 사건이 종결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해결 과정에서 자신들의 일상과 가치를 돌아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감수성과 ‘성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이 없는 세상’에 대한 상상력을 키우지 못하였다면 어쩌면 해당 공동체는 그 문제를 계속 ‘수면 아래로만 숨겨둔 상태’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부팀 DIY, 다음 주는 비누 만듭니다 file [2]

  • 디온
  • 2010-03-21
  • 조회 수 3242

반찬팀 이번주 먹고싶은 식량 [2]

  • 디온
  • 2010-01-06
  • 조회 수 3244

아침책읽기 리처드 도킨스 트위터 논쟁

반찬팀 장소변경 아랫집 12월 셋째주 반찬팀 작업은????? [4]

  • 손님
  • 2009-12-16
  • 조회 수 3266

반폭력 모임 [초코파이의 인권이야기] 공동체에서 성폭력 사건을 맞닥뜨린다는 것...

  • 손님
  • 2016-03-04
  • 조회 수 3270

반찬팀 수요일은 반찬이 좋아~

  • 지음
  • 2009-12-02
  • 조회 수 3279

공부팀 퀴어/여성주의 읽기모임 (2월-) [4]

  • 잇-
  • 2010-12-31
  • 조회 수 3279

반찬팀 수요일엔 빨간 반찬을~~

  • 지음
  • 2009-11-17
  • 조회 수 3283

공부팀 일본어 공부 같이 합시다요!!! [7]

  • 말랴
  • 2010-03-30
  • 조회 수 3292

반폭력 모임 서로 얼마만큼 살펴가느냐도 중요한것같아요. 그것에 좋을것같은 추천영상이요.

  • 손님
  • 2015-06-28
  • 조회 수 3320

반찬팀 3월 반찬팀 첫 활동

  • 손님
  • 2010-03-07
  • 조회 수 3337

동모임 동동동 20180511 동물권 모임 <동모임 동동동> 첫 모임

  • 사씨
  • 2018-05-12
  • 조회 수 3340

해문동 11/29 해문동모임 후기

  • 잔잔
  • 2011-11-30
  • 조회 수 3357

공부팀 [빈책모임] 2/10 간디,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2]

  • 손님
  • 2010-02-10
  • 조회 수 3366

반찬팀 김장 결산

  • 지음
  • 2009-11-30
  • 조회 수 3374

반찬팀 반찬팀 재정 보기

  • 지음
  • 2009-11-18
  • 조회 수 3383

반찬팀 배추가 남아요! 김장김치 필요하신분~

  • 지음
  • 2009-11-24
  • 조회 수 3390

공부팀 진보복덕방 + 읽고싶은책

  • 지음
  • 2010-01-16
  • 조회 수 3476

아침책읽기 두 번째 책 - 진화심리학 file [4]

  • 손님
  • 2015-04-07
  • 조회 수 3500

반찬팀 반찬팀 3월 둘째주 토요일 활동!

  • 손님
  • 2010-03-14
  • 조회 수 3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