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집 회의록 2016.1.29

참여 : 00, 00, 00, 00, 00, 00

수기 : 웅기

편집 : 웅기

--- 


‘공간 space’은 ‘장소 place’로 변환

‘빈집' 대신에 ‘살림집'으로 대체


회의주제 : 왜 살림집에 살고 있는가?

00 : 리더가 있어서는 안 된다. 사관처럼 태도를 취하는 것은 불편하고 힘들다.  


00 : 집에 대한 경험은 집에 엄마, 아빠가 있는 것이었다. 솔직히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곳이 집이었다. 살림집은 가족이 사는 곳이 아니다. 무관심(프라이버시)은 위험하다. 공동주거를 하는 집이라는 장소는 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살림집에서는 강제로 무엇을 하자는 사람은 없다. 공동주거를 함께 하고 있는 개인을 어디까지 개인으로 존중해야 하는지 고민한다.


00 : 목적을 가지고 살림집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집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살림집의 자율적이라는 개념은 모호하다. 삶의 모습을 공유하는 것에 프라이버시도 있는 것이다. 삶의 방식을 찾는 것은 어렵다.


00 : 나에게 집은 없었다. 간단하게 지금 살고 있는 곳이 집이라고 생각한다. 집에 대한 기대 같은 것은 없었다. 공동주거에 싫은 점들이 있지만 불만이 있어도 한 번 더 생각해보면 나도 안 하는데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이야기할 수 있는가라고 생각해왔다.


00 : 관성적으로 살았던 것 같다. 살림집 살이에 대해서 예전 같은 느낌이 아닌 것이 사실이다. 마을 전체가 그런 것 같기도 하다. 


00 : 부모님과 함께 살았던 옛날의 집이라는 것은 잠자고, 물건이 있고, 밥을 먹는 곳이었다. 살림집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방식에 질문을 던질 줄 아는 사람들이 있었다. 행복을 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힘든 과정도 있었다. 배움의 장소였고, 나라는 사람을 노골적으로 알려주는 곳이었다. 나를 만나는 장소이기도 했다. 그러나 살림집이 더이상 이런 곳이면 안 되겠다고 생각하게 됐다. 균형을 잃어버렸다. 같이 살아가는 것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방식을 시도하겠다.


00 : 구성원이 다른 공동체도 비슷한 고민이 있다. 공동주거는 돌봄노동을 공유하는 장소라고 말하고 싶다. 몇 개월 살림집에서 본 것은 00 씨가 계속해서 대화를 시도했지만 반응이 없었다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92 공부집 이번주책읽기 - 모든 작은 것들, 약한 것들을 위한 꼬장꼬장+걱정 +회의많은 국선변호사 file [4] 손님 2011-08-11 4938
391 공부집 5, 6, 7 월 공부집 회계 정리. [2] 손님 2011-08-08 4942
390 공부집 8/7 공부집 회의록 ^.~* [3] 봉봉 2011-08-08 5158
389 아랫집 0807 아랫집+앞집 [1] 우마 2011-08-08 4947
388 아랫집 7/31 아랫집 + 앞집 회의록 지음 2011-08-01 5023
387 낭만집 7월31일 낭만집 회의 [6] 손님 2011-08-01 4987
386 공부집 7월 막일 공부집 회의록(7/31) [4] 봉봉 2011-08-01 5064
385 공부집 공부집에서 몇 일만 새끼 고양이 키워도 될까요? file [4] 모모 2011-07-30 5127
384 아랫집 7월 31일 아랫집 일요식탁 메뉴 및 같이 이야기 할 것들 [6] 우마 2011-07-28 4946
383 공부집 공부집 회의 기록(7월 24일) [2] 모모 2011-07-27 5175
382 공부집 7월 셋째주 GS25 기록(김선우+시집/도화 아래 잠들다) [1] 손님 2011-07-26 5203
381 공부집 11시 책읽기 - 희곡 <맥베스> Che 2011-07-26 5219
380 빈마을 24일 마을잔치에~ 살구 2011-07-21 4861
379 공부집 공부집 6월 인터넷 요금 - 25,850원 file 모모 2011-07-19 5104
378 공부집 GS25 요번주 책읽기 모임은 시집과 춤입니다. [1] 봉봉 2011-07-18 5059
377 아랫집 옥상텃밭의 이름모름 무성한 식물은 catnip, 고양이마약 [2] 손님 2011-07-16 4835
376 공부집 [모기퇴치법]살충제를 쓰지 않고 모기를 퇴치하는 5가지 방법 손님 2011-07-16 5216
375 공부집 저자와 함께하는 1박2일 책읽기 <가타리의 생태철학> 16일 저녁 7시 file [3] 들깨 2011-07-15 5103
374 공부집 7월 둘째 주 GS25(김승옥단편/소금꽃나무) 기록 [4] 잔잔 2011-07-13 5110
373 공부집 일박이일 책읽기 : 16일(토) 저녁부터 file [4] 들깨 2011-07-12 5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