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기존 주민들이 새 입주민들이 사회적 배려 대상자가 이 아파트에 임_대로 들어오게 되자 집값이 떨어진다는 게 이유 이사들어가는 걸 막고 나섰다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웃이 될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이웃이 될 수 없는 것이 돈때문이어야할까요? 왜 우리 사회는 부동산을 매개로 공동체를 이루고 있을까요? 부동산을 매개로 이루고 있는 공동체는 토막살인범에게 끌려가며 살려달라고 외쳐도 아무도 도와주지 않고 신고조차 없는 우리의 현실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공동체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건축가 승효상의 글을 읽으며 같이 생각해봅시다. 

-----------------------------------------------------------------------------------

임_대 아파트를 둘러싼 갈등 : 소셜믹스가 해법이 될까?

http://www.huffingtonpost.kr/2014/07/11/story_n_5576474.html?utm_hp_ref=korea&ncid=tweetlnkushpmg00000067

부동산 공동체- 승효상(건축가)

거주를 돈으로 환산해 부동산 획득하려는 우리의 삶은…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986638


(중략)

도시를 의미하는 영어에는 시티(city)와 어반(urban) 두 가지 단어가 있는데, 같이 도시를 뜻하지만 그 내용이 사뭇 다르다. 

그리스어 civtas에 근거하는 시티는 일종의 사회적 성격이 강한 반면, urbs에 어원을 가진 어반은 그 사회를 근간으로 하는 물리적 환경을 의미한다. 서로 모르는 이들이 모여 공동체적 목적을 공유하는 어떤 사회와 그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적 구성이 합쳐서 도시가 된다는 것이다. 

쉬운 말로는 시티는 소프트웨어고 어반은 하드웨어다. 그런데 이 건물들의 집합인 어반은 만들기가 쉬운 반면에, 시티는 대단히 어렵다. 그 사회를 구성하는 이들이 각개의 특출한 이해관계를 극복하고 공동의 이익을 위한 규칙에 합의하고 공유해야 하는데, 이를 이루기가 여간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중략)
문제는, 물리적 환경뿐인 이런 ‘어반’에서 사람이 살게 되면서 그 ‘어반’이 가정한 어떤 사회적 모습에 적응한다는 것이다. 그 가정된 사회라는 게, 불행하게도 이미 서구에서 실패로 끝났던 마스터플랜-통계적 숫자를 근거로 평균적 인간을 목표한, 계급적이고 분파적이며 효율과 기능만이 중시되는 거주적 기계로서의 도시이니, 거주자들은 죄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런 공동체 속에 삶을 살게 되고 만다. 임


그렇다면 어딜 가도 똑같은 우리 시대의 신도시들은 모두 같은 종류의 사회를 형성한다는 말이어서, 지방의 정체성 찾기란 지극히 난망한 일이다. 


※임_대는 금지어 등록되어있어 '_'을 붙였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20210225 빈집 게시판&공통장&폰 정리 회의 [1] 사씨 2021-02-26 12962
공지 '2014 겨울 사건의 가해자 A'의 게시글에 대한 빈마을 사람들의 입장 [19] 정민 2016-05-19 154611

오늘 저녁11시반 공부집 셈나 발제문 (부채 그 첫 5,000년) file

아름답고 건강한 항문을 위한휴대용비데 공구합니다 [4]

  • 손님
  • 2015-05-19
  • 조회 수 2033

백수는 아름답다 file [5]

  • 디온
  • 2010-07-13
  • 조회 수 2035

친구와 함께 일주일정도 머물고싶습니다. [1]

  • 손님
  • 2015-09-09
  • 조회 수 2036

sinal(C)님께..였던 글

  • 사씨
  • 2020-11-19
  • 조회 수 2036

11월 27-29일, 빈집에 머물 예정이에요 :-) file [1]

  • 손님
  • 2014-11-24
  • 조회 수 2038

감기 [1]

  • 손님
  • 2018-11-21
  • 조회 수 2039

[같이쓰는 중] 빈마을 월별소식_2015년 6월 file [2]

  • 손님
  • 2015-06-24
  • 조회 수 2040

빈마을 유감 [4]

  • 손님
  • 2015-09-30
  • 조회 수 2040

살림집회의 10월 28일

  • 손님
  • 2013-10-29
  • 조회 수 2041

[후기] 청년난감모임-빈집 편 file [1]

난 지금 글을 쓸 수 있는가? [1]

  • 성재
  • 2014-04-28
  • 조회 수 2043

써지나? [1]

  • 우마
  • 2010-11-08
  • 조회 수 2044

단투 해보고 싶어요~

  • 손님
  • 2013-10-20
  • 조회 수 2044

5월 5일 노들텃밭 개장행사(오후 2시) 같이 가실 분~! [10]

용사구 마을공동체 "우리마을 만들기" 주민교육 안내 file

  • 손님
  • 2012-09-11
  • 조회 수 2044

마을 활동비 를 좀 써야겟어요 [4]

  • 손님
  • 2011-12-03
  • 조회 수 2045

바이올린 콘서트 보러갈래요? file

  • 나루
  • 2011-12-03
  • 조회 수 2047

빈집 해적방송 (시험판) [9]

  • 우마
  • 2010-08-30
  • 조회 수 2050

11월5일(목) 저녁7시반 : 다큐 '자연농' 상영

  • 손님
  • 2015-10-28
  • 조회 수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