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제 지음 님과 인터뷰 건으로 전화드린  월간 <참여사회> 최인숙입니다.

 

대안적 주거 공동체의 의미가 있는 '빈집'에 관심을 갖고 있어 더 많은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어 인터뷰를 요청드렸습니다. ^^

 

먼저 잡지 소개를 드리면,

 

월간 <참여사회>는, 참여연대에서 발행하는 월간잡지입니다.
한국사회 현안에 대한 진단과 분석,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고, 한국이라는 경계를 넘어 세계 이슈와 소식을 전함으로써 많은 시민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참여연대 회원들간, 시민과 시민사회운동간 소통의 역할에 도움을 주고 싶다는 취지로 만들어, 현재 통권 166호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참여사회는 전국에 1만 2천 여 명의 독자들이 <참여사회>를 구독하고 있습니다.
잡지 제작 후 주요 꼭지를 참여연대 홈페이지와  오마이뉴스, 미디어 다음 등 타 언론매체에 올려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청탁드린 인터뷰 꼭지는 2010년 10월호 <참여사회>  '김용민이 만난 사람' 으로,  시사평론가 김용민 씨가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인터뷰 꼭지는 <참여사회> 메인 인터뷰로서,
그동안 시인 김남주 선생의 부인이신 박광숙 선생, 전태일 열사 어머님 이소선 여사, 민가협 임기란 선생, 민변 이석태 변호사, 여성 사회학자 이효재 선생, 건축가 정기용 선생, 강수돌 교수, 최장집 교수, 서경식 교수, 민변 백승헌 회장, PD수첩 김보슬, 이춘근 피디, 서중석 교수, 도법스님, 박원순 변호사, 정혜신 박사, 김종철 선생, 정연주 전 사장, 이정희 의원 등 건강한 시민사회를 위해 열심히 활동하시는 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번 10월호에서는 지음 님과 아규 님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전화로 잠깐 말씀드렸습니다.

한국사회에서 부동산, 전세값 폭등 또는 하락, 내 집 마련 등에 민감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이 부동산 관련 이슈는 사회적으로 논란을 넘어 혼란스러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매번 부동산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우선적인 원인이겠지요.

해서, 대안적 주거운동을 소개하며 집은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라는, 부동산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대안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부동산에 대한  주거운동을 직접 실천하고 있는 인물 인터뷰 기획입니다.

 

'빈집'에 대해 알고 느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물의 삶을 들여다보는 인터뷰라는 의미도 있어서 빈집을 처음 구상하신 지음 님과 아규 님께 인터뷰 청을 드린 것입니다 ^^

 

간단한 인터뷰 취지를 말씀드렸습니다.

꼭 만나뵙고 싶습니다 ^^

 

날짜는...(이달엔 추석이 있어서 책 마감도 덩달아 앞당겨지게 됐습니다ㅎ)

 

일정은, 다음 주 목요일은(9/16) 저녁 시간은 어떠신지 여쭈고요.

시간 안 되시면 차후에 다시 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소는 당근 '빈집'이구요 ^^

 

간단하...지 않은 긴 메일이네요~

보시고.. 연락 부탁드립니다. 이멜, 개인폰 아무거나 좋습니다. 편하신 소통창구로 연락주시구요.

빠른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
최인숙 팀장

참여연대 월간『참여사회』

T.02-723-0808  F.02-6919-2004
M.011-661-0730   imon@pspd.org
blog.peoplepower21.org/magazine

110-043 서울 종로구 통인동 132

 

내 일생을 시로 장식해 봤으면.
내 일생을 사랑으로 채워 봤으면.
내 일생을 혁명으로 불질러 봤으면.
세월은 흐른다. 그렇다고 서둘고 싶진 않다.


지음

2010.09.13 00:05:42

긴 제안서 고맙게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빈집과 지음, 아규에 대해서 어떤분이 어떻게 듣고 판단해서 이렇게 결정이 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제 견해로는 다소 부적절한 기획이 아닌가 싶습니다.

 

부동산 문제에 관한 인터뷰이라면... 

잘 알고 계시겠지만,

<진보복덕방>을 발행하고 계시는 주거권운동네트워크 활동가 분들이나,

<부동산 계급사회>를 쓰신 손낙구 선생님을 비롯한 여러 분들이 더 훨씬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저희는 '주거운동'을 하고 있다기 보다는 그저 살아갈 뿐이라서요.

 

빈집의 얘기라면...

빈집은 항상 '현재' 빈집에 있는 사람들이 늘  새로 만들어가고 있는 집으로서...

'처음' 시작한 사람의 의미는 사실 아주 작고, 또 더 작아져야 합니다.

이런면에서라면 지음과 아규는 지금까지 다른 인터뷰도 수차례 한 적이 있기 때문에 그만해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빈집에서의 삶에 대해서 열심히 고민하고 있는 다른 장기투숙자들 중에 할 사람이 있으면 더 좋겠군요.

'인터뷰'를 통해 빈집을 소개하는 것이 '빈집'을 독자들에게 알리는 적절한 방법인가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구요.

 

마지막으로 지음과 아규로 말씀드리자면... 

아직 남들이 들여다 볼 만한 '인물의 삶'을 살고 있다고 하긴 그저 민망할 따름이고...

매체도 인터뷰어도 그동안의 인터뷰이 분들도 모두 평소에 존경하던 훌륭하신 분들이라서,

부담이 심하게 되고 엄두가 나질 않는군요.

 

아무튼 최인숙 팀장을 비롯한 편집위원 분들이 빈집에 관심을 갖게 되셨다는 건 기쁜 일이고...

그렇다면 우선은 빈집에 한 번 놀러오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일 생각은 잠시 접으시고. ㅎㅎ ^^

 

조만간 뵐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모두들 안녕히 계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20210225 빈집 게시판&공통장&폰 정리 회의 [1] 사씨 2021-02-26 12974
공지 '2014 겨울 사건의 가해자 A'의 게시글에 대한 빈마을 사람들의 입장 [19] 정민 2016-05-19 154614
1800 3/30 월 개강! 부채(debt)와 상호의존성, 디지털 혁명, 빅데이터, 미국의 사상가들(버틀러, 롤스, 로티 등) 손님 2015-03-26 1853
1799 하와이 과일 페스티벌 [1] 손님 2015-03-23 1760
1798 다중지성의 정원 3/30 개강! 르페브르, 네그리, 예술인간, 성차와 복식, 영화, 시 쓰기 등 2분학기 강좌 안내! 손님 2015-03-22 1791
1797 [청년혁신일자리사업] 참여자를 추가 모집 합니다. (~3.30까지) file 손님 2015-03-21 1948
1796 [정치발전소] ‘사울.D.알린스키’ 강독 및 토론 모임 file 손님 2015-03-21 1706
1795 강좌> 예술인간의 탄생 : 예술가에서 예술인간으로 (강의 이름) - 4월 2일 목 개강! 손님 2015-03-21 1710
1794 구름집, 잘 놀고 잘 쉬다 갑니다~ [3] 룡룡 2015-03-20 1782
1793 [2015 청년학교] "토닥토닥" 청년을 응원하는 그곳! 손님 2015-03-20 1680
1792 3월 변두리 영화제 - <제주의 가슴이 미어진다> 상영회 file 손님 2015-03-17 1829
1791 마을에서 국제컨퍼런스 할수있게 지원해준다네요 ㅂㄹ 2015-03-16 1528
1790 눈에 띈 공동체에 대한 것. 아마도 관련영상이 있을듯 [1] 화자 2015-03-13 1741
1789 빈고뱅크 홈페이지 우마마 2015-03-13 1599
1788 몇개프로그램 화자 2015-03-13 1729
1787 2015년 공동체은행 빈고 총회 3월 7일 3시 해방촌 까페 빈가게입니다. file 곰자 2015-03-05 1652
1786 ★★ 저흰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빈집 프로젝트>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수정채 2015-02-27 1735
1785 도시양봉에 관심있는 집은 없나요?? file 손님 2015-02-26 4183
1784 아나키즘이란? - 다 바꾸기 위하여 file [1] 손님 2015-02-23 1765
1783 안녕하세요! 신입 인사드립니다! ^^ [1] 손님 2015-02-15 1601
1782 15년 서울청년혁신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2/26) file 손님 2015-02-11 1555
1781 [NGA/SF]활동가를 위한 글로컬페미니즘학교 2015년 수강생 모집 손님 2015-02-07 1836